SKT 문자 커머스 '티딜' 상반기 거래액 1000억 돌파…81.5% 늘어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814_0002412729&cID=13004&pID=13100
SKT 문자 커머스 '티딜' 상반기 거래액 1000억 돌파…81.5% 늘어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큐레이션 문자 커머스 '티딜' 지난 상반기 거래액이 1069억원을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www.newsis.com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큐레이션 문자 커머스 '티딜' 지난 상반기 거래액이 1069억원을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81.5% 성장한 수치다.
무려 전년 동기 대비 81.5%나 성장했다. 가장 주목할 점은 그냥 문자 커머스가 아니라, 인공지능 큐레이션을 활용한 문자 커머스라는 점이다.
SK텔레콤에 따르면 티딜 거래액은 2020년 서비스 론칭 이후 2021년 894억원, 지난해 1374억원을 기록하는 등 연평균 50~60%대의 성장률을 이어가고 있다.
SK텔레콤은 티딜 출시 4년 차를 맞아 주력 판매 상품을 빠르게 다변화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간 주요 판매 분야였던 일반 식품과 건강식품 등에서 점차 디지털 가전과 패션 의류, 패션 잡화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020년 론칭 이후 3년만에 60%대의 성장률을 유지중이다. 이커머스 산업에서 판매 상품의 확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만큼 사용자가 늘어나고, 상품의 양이 늘어나면 당연히 자연스레 규모가 커지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지난 6월부터 지난달까지 여름철 매출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가전이 처음으로 식품을 제치고 카테고리별 매출 비중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가전 매출 비중은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지난해 2위(22.5%)에서 올해 1위(27%)로 올라섰다. 여행 티켓과 패션 잡화도 전년 대비 각각 9위(3.2%)에서 5위(5.7%), 8위(3.3%)에서 7위(4.8%)로 상승했다.
육류도 돈팡(돼지고기), 강강술래(갈비탕), 까칠한 박여사(한우), 우리집 춘천 왕 닭갈비(닭) 등으로 매출 10위 안에 4개 품목이 포함되며 지난해 성수기에 1개 품목이었던 것에 비해 큰 증가 추세를 보였다.
SK텔레콤은 티딜 매출 다변화에 대해 공급되는 상품과 브랜드가 다양해지는 것은 물론 빅데이터와 AI 큐레이션에 기반한 맞춤형 상품 추천 등이 고객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자동화 추천 알고리즘이 고객의 유입을 끌어당기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소비자 심리에서, 쇼핑을 할 때 정보를 알아보는 것에 대해 큰 피로감과 스트레스를 느끼는 경우가 많다는 심리가 있다.
그래서 소비자가 정보를 서치해야 하는 노력과 과정을 대신 제안해주고 해결해주는 것만으로도
유입과 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자동화 추천 알고리즘은 고객 유입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제안하고, 보여주고
랜딩 페이지 구성을 통해 전환까지의 여정을 함께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항상 고객 중심적 사고로 생각하면서도, 고객이 원하는 것을 직접 제시해주고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을 먼저 제시하는 마케팅 기법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거 같다.
지난 번에 읽었던 뉴스기사에서, 유튜브 MAU가 카카오톡의 MAU를 맹추격했다고 했는데
이러한 부분 또한 유튜브의 알고리즘 추천 기능 덕분이 있지 않을까 예측해본다.
고객이 흥미로워할 만한 콘텐츠를 끝없이 제공하면서, 당연히 유튜브 콘텐츠에 흥미를 갖고 지속해서 이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기사를 볼 때마다 매출 증가에 있어서 상품과 서비스 자체에 대한 퀄리티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마케팅적인 관점에서 고객의 니즈를 항상 생각하고, 유입과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나 생각한다.
고객에게 문자 메시지로 쇼핑을 제안하는 문자 구독 커머스는 고객 수요를 파악하는 데이터 분석 역량이 필요하다. 짧은 텍스트로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핵심 상품을 추천하고 이용자의 소비 의사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문자커머스가 효과적인 이유는 짧은 시간에 직관적으로 고객을 후킹하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소비자의 정보 탐색 노력을 덜어주면서,
원하는 상품을 얻을 수 있는 구조는 인간 뇌과학적으로도 매우 효율적인 행동이기 때문이다.
(노력 대비 좋은 결과.... 당연히 끌릴 수밖에)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고객에게 전달하는 상품 판매 문자에 AI가 추천하는 방식을 티딜에 채택했다. 라이프스타일과 관심사를 기반으로 고객을 분류하고 생성형 AI에게 최적의 상품 카테고리를 추천하게 했다.
SK텔레콤은 이러한 AI 추천 방식을 실험한 결과 기존 대비 문자 클릭률(CTR)이 최대 16%까지 증가했다고 전했다. 티딜은 이를 기반으로 마케팅 담당자가 작성하는 맞춤형 마케팅 문구를 생성형 AI 모델로 대체하는 등 그 활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당연하다. 관심 없는 분야의 상품이 접근하면 누가 그걸 주의 깊게 보겠는가
하지만 소비자가 실제로 관심 있어하고 마침 구매하려고 정보를 탐색하던 상품을 발견하면
당연히 관심 있게 살펴본다.
심지어 그 방법이 내가 검색하기도 전에, 먼저 제안하는 방식으로 온다면 더더욱
날이 갈 수록 소비자 구매 데이터와 행동 데이터가 중요해지고 있다.
정말 빅데이터 시대 그 자체이다.
하지만 앱 추적금지와 쿠키 데이터 금지 정책으로 인해,
제로파티와 퍼스트 파티 데이터가 매우 중요해졌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티딜 고객 리뷰와 고객센터 고객의 소리(VOC)도 생성형 AI로 분석해 잠재적 고객 문의 및 불만 요소를 사전에 인지해 고객 대응과 상품 품질 관리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또한 SK텔레콤이 보유한 빅데이터를 활용해 티딜 고객을 위한 최적의 맞춤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퍼포먼스 마케팅이 처음 뜨기 시작했던 이유도 정교한 타겟팅을 통해서,
상품과 서비스에 관심 있는 사람에게 광고를 보여줌으로써 효율적인 광고 전략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관심사 기반 타겟팅이 중요한 이유가 될 수 있겠다.
하지만, 지나치게 관심사 기반으로만 타겟팅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스크랩]이제는 온라인 이커머스 아닌 오프라인이 대세? (0) | 2023.10.22 |
---|---|
[신문 스크랩] 넷플릭스도 티빙도 아닌 쿠팡플레이? (0) | 2023.09.17 |
[신문 스크랩] 구글에게 밀리는 카카오, 네이버? (0)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