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마케팅 이론2. 마케팅 환경분석 기법 PEST란?

순우유 2023. 4. 15. 12:49

 

 

마케팅 시장조사에서 가장 필수적인 요소 사회경제사회적인 부분을 조사하는 것

그중에서도 PEST, SWOT, 3C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들어가기에 앞서 마케팅 환경 분석은 왜 필요한 것일까?

마케팅은 환경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사회적 흐름에 따라 예전에는 기발했던 마케팅이, 이제는 틀린 마케팅이 될 수도 있다.

마케팅은 사회 공동체 속에서 생활하는 고객에게 우리의 상품 및 서비스를 알리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흐름을 알고 그에 맞춰 논란이 되지 않을, 좀 더 각광 받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정치적 상황에 따라서도 경제적 상황에 따라서도 산업군의 흐름은 변화하고 고객의 구매 흐름도 바뀔 수 있기 때문에

환경적인 부분을 늘 숙지하고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거시적 환경분석 기법

'거시적 분석' 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 전체적인 큰 틀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보통 숲을 본 뒤에 나무를 보듯이 거시적 환경을 분석한 뒤에 미시적 환경을 분석하는 경우가 보편적이다. 

 

거시적 기법으로 PEST 분석법이 있다

 

P : Political 정치 (정치제도, 규제, 규칙, 법안, 세금 등등)

E : Economic 경제 (경제성장률, 경기불황, 물가상승 등등)

S : Social 사회 (문화적 요소, 소비 트렌드, 저출산, 젠더이슈, 라이프스타일, 환경문제 등등)

T : Technological 기술 (기술혁신, 인프라, 자동화 등등)

 

내가 속해 있는 산업군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이슈를 총체적으로 분석하는 기법이다.

그냥 이론만 설명해서는 정리가 안될 수 있으니,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자


예를 들어 내가 현재 통신사 마케터라고 가정해보자

정치적 분석에는 망사용료 법안, 5G 기지국 의무구축이 들어가야 한다

경제적 분석에는 고물가 고금리가 들어갈 것이고

사회적 분석에는 저출산, 5G 사용자의 증가, 다양한 콘텐츠 및 OTT 소비 증가양상 등이 있을 것이다. 

또한 마지막으로 기술에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스마트폰의 보편화 등이 있을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렇게 분석 그 자체가 아니다.

PEST에서 우리 기업이 얻어갈 인사이트가 무엇인가? 마케팅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 를 중점으로 생각해야 한다.

 

다시 예시를 토대로 인사이트를 도출해보자

 

정치적 분석 부분에서

망사용료 법안이 통과 되었을 때 통신사 회사는 구조적으로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에 따른 소비자의 반발감과 기업에 대한 불신도 뒤따를 수 있다는 것을 숙지해야 한다.

5G 기지국를 의무적으로 구축하지 않았을 때 따라올 정치적 제재, 통신 속도 저하에 따른 소비자의 불만을 생각해야 한다

 

경제적 분석 부분에서 

고금리 고물가에 의해 소비자들은 소비를 절약하기 위해 더 저렴한 요금제를 찾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알뜰폰 요금제를 이용하거나 VoIP를 중점적으로 이용하여 요금제를 낮추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쟁사를 알뜰폰 요금제, VoIP 서비스로 도출해낼 수도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경제적으로 절약이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라는 인사이트를 통해, 다양한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립할 수도 있다.

사회적 분석 부분에서는

통신사 요금제는 가입 인구 수와 경제적 이익이 정비례하기 때문에 저출산 문제는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결국 인구 수가 줄어들면 가입 수가 줄어들게 되고, 경제적 이익도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콘텐츠를 소비하는 라이프 스타일이 증가하고 있다면 그에 맞는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을 생각해낼 수 있다

 

기술적 분석 부분에서

인공지능의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PEST 분석이 우선 되어야 좀 더 폭넓고 유기적인 인사이트 도출이 가능하다.

 

다음 게시글은 미시적 환경 분석법 중 하나인 SWOT 분석법에 대해 써보도록 하겠다